본문 바로가기
돌도 도는 부동산

2023년 5월 부동산 동향

by 하이드갓 2023. 6. 24.
반응형
„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심리 개선으로 하락세 둔화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전월 대비 상승 z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매수심리가 개선되면서 하락세가 둔화되었으며 서울 동남 권, 경기 성남 등은 상승세로 전환

╺ 전국 주택 매매가격 상승률(%, MoM) : -0.78('23.3월) → -0.47(4월) → -0.22(5월) z 연립주택의 경우 전월 대비 하락폭이 확대되었으나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큰 폭으로 둔화되면서 전체 주택의 하락폭 축소 주도

╺ 유형별 상승률(%, MoM, 4월/5월) : 아파트 –0.62/-0.23, 연립 –0.28/-0.39, 단독 –0.05/-0.02 z 전세가격은 입주물량 증가에 따른 할인 매물, 월세화 영향으로 하락세 지속되었으 나 선호 단지 중심으로 저가 매물이 소진되며 하락폭 축소 지속

 

╺ 전국 주택 전세가격 상승률(%, MoM) : -1.13('23.3월) → -0.63(4월) → -0.31(5월) „ 저점 인식 확산, 저가 매수세 확대, 이자 부담 완화 등이 하락세 둔화를 견인 z 주택가격 저점 인식이 확산되고 특례보금자리론(저금리 대출) 영향으로 이자 부담이 완화되면서 매수심리 개선 및 주담대 잔액 증가세 유지

 

╺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 : 91.5('23.1월) → 102.1(2월) → 103.6(3월) → 107.7(4월) ╺ 은행 주담대(조원, 전월 대비 잔액 증감) : 2.3('23.3월) → 2.8(4월) → 4.3(5월) z 전국 주택가격이 '21.1월 수준까지 하락해 저가 매수세가 확대되면서 수도권 재건축, 도심 내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 집중 z 전세가격 하락세 둔화 또는 상승 전환으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 차이가 축소된 곳(서울 서남권, 경기 성남 등)에서는 투자수요가 증대될 가능성

 

 

„ 수요 집중되는 수도권과 매물 적체되는 지방 간 양극화 심화 가능성 증대 z 수도권은 가격 상승기대가 형성되는 재건축 아파트 비중이 높고 전매 제한 완화로 분양시장 투자 여건도 개선되면서 청약수요가 회복

╺ 재건축 아파트 비중(%, 단지 수/세대 수): 서울 25.1/35.4, 경기 25.1/30.5, 인천 4.2/1.6 z 이로 인해 서울에서는 분양 호조세 이어지나 지방에서는 매수세 위축으로 분양시 장 부진이 지속되고 미분양 비중이 다시 증가할 가능성 증대

╺ 미분양 재고 중 지방 비중(%): 91.5('21.12월) → 83.7('22.12월) → 83.7('23.5월) z 지방에서는 분양 완료된 경우에도 기존 주택의 매각 지연, 세입자 미확보 등으로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하고 있어 매물 적체가 심화

╺ 아파트 입주율(%, 서울/수도권/지방): 81.9/75.7/64.8('23.4월) → 86.7/80.1/63.9(5월) „ 한편, 주택가격 급등 후 하락 과정에서 잠재된 리스크(역전세 등)가 부각될 우려 z 전국 전세가격은 '22.6월부터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낙폭 확대 등의 영향으로 임대차 계약 시보다 전세가격이 낮아지는 역전세가 증가할 가능성

 

╺ '23.4월 기준 역전세 중 '23.하반기 28.3%, '24.상반기 30.8%가 만기 도래 예정(한은) z 기존 부채 부담, 차주별 DSR 규제 등으로 임대인이 보증금 반환 자금을 마련하지 못해 급매로 처분할 경우 매매가격 하락요인으로 작용 z 또한 전세 보증금 미반환 우려, 매매가격 하락에 따른 임대 수요 증가 등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되고 월세 수요가 증대될 가능성

 

╺ 임대차 거래 비중(%, 전세/월세): 48/52('22.3Q) → 47/53(4Q) → 45/55('23.1Q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