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 찾아본 종목

쌍용C&E 003410 코스피 - 시멘트 / 환경자원 / 레미콘 / 페라이트

by 하이드갓 2023. 5. 4.
반응형

 

 

주가(주봉)

 

 

밴드 챠트

 

관련 뉴스

46兆 발행 폭탄 은행채, 돈맥경화 어쩌나 - 이투데이 (etoday.co.kr)

 

46兆 발행 폭탄 은행채, 돈맥경화 어쩌나

은행채, 4월 12조7800억 원 발행…올해 월별 발행액 최대2분기 은행채 만기 규모 62兆…1분기比 30%↑차환 물량 쏟아지면…자금시장 ‘블랙홀’ 등극하나(그

www.etoday.co.kr

 

 

최근 공시

 

 

 

 

 

 

최근 리포트

쌍용C&E의 4분기 매출액은 6,277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9.1% 증가, 컨센서스 대비 8.1% 상회했다. 영업이익은 1,32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4.1% 증가, 컨센서스 영업 이익 726억원 및 당사 추정치 807억원 대비 80%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 다. 수출 재기에 따른 가동률 정상화와 국내 내수 판매량의 8% YoY 증가 및 2022년 연간 두차례 단행된 판가 인상 효과가 4분기에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시장 기대치를 상 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판가 상승 통보가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면서 단가가 높아진 물량이 판매되어야 인상 효과가 실적으로 확인되는데, 지난해 인상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이 여러 대외 요건으로 지연되다 금번 분기에 한꺼번에 효과가 확인된 상 황이다. 그밖에 탄소배출권 매각이익 약 180억원이 반영된 점 역시 호실적에 영향을 미 쳤다. 유연탄 가격의 전반적 하락 추세는 긍정적이나, 여전히 정부의 전기료 인상 가능성 확대 및 기타 물류비, 운반비 증가분을 감안하면 연내 추가 판가 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출처 : 이베스트증권

사업 개요

쌍용C&E는 시멘트사업을 중심으로 환경자원사업, 레미콘사업, 기타사업(석회석사업, 해운사업, 골재사업, 임대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시멘트사업부문>
  지배회사는 동해, 영월, 북평, 광양의 시멘트공장에서 연간 1,500만톤의 시멘트를 생산하여 전국 각지의 출하기지를 통해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시멘트 시장에서 매년 평균 20% 이상의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에는 미국, 중국, 필리핀, 칠레를 비롯한 세계 7개국에 182만톤의 제품을 해외에 수출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중 시멘트사업의 매출(외부매출 기준)은 11,453억원으로 쌍용 C&E 연결기준 매출의 약 58%(외부매출 기준)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환경자원사업부문>
  환경자원사업부문은 산업활동과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석탄재 및 폐합성수지, 폐타이어 등을 시멘트 제조공정의 원료와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소각과 매립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천연자원 보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폐열회수발전, 에너지 저장장치, 연소설비 등 설비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친환경적 이익창출을 도모하는 순환경제 시스템 구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중 환경자원사업의 매출은 1,724억원으로 쌍용C&E 연결기준 매출의 약 9%(외부매출 기준)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레미콘사업부문>
지배회사의 계열회사인 쌍용레미콘은 1965년 국내 최초로 레미콘 사업을 시작, 2007년 업계 최초로 누적 출하량 1억 5천만
를 달성한 국내에서 가장 오랜 사업 경험을 가진 레미콘 전문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품목은 레미콘이며, 19개의 사업장을 통해 전국 각지의 건설현장에 레미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요 거래처는 대우건설, 현대건설, 포스코건설, GS건설, 대방건설 등 도급순위 100위 이내의 대형건설사입니다. 공시대상기간 중 레미콘사업의 매출은 3,798억원으로 쌍용C&E 연결기준 매출의 약 19%(외부매출 기준)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현황

 

 

 

원재료 현황

 

 

 

 

매출 현황

 

 

 

 

 

연구개발 현황

 

 

 

 

주주 현황

 

 

임원 현황

 

타법인출자 현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