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2408006.pdf
1.40MB
- 고용률
- 2024년 7월, 15~64세 고용률은 69.8%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6.5%로 0.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 취업자
- 총 취업자 수는 2,885만 7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만 2천 명 증가했습니다.
- 30대와 60세 이상에서 고용률이 상승했으나, 20대와 40대에서는 감소했습니다.
-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11만 7천 명, 정보통신업에서 8만 2천 명, 운수업 및 창고업에서 6만 5천 명의 취업자 증가가 나타났습니다.
- 반면, 건설업과 도매 및 소매업에서는 각각 8만 1천 명, 6만 4천 명의 취업자가 감소했습니다.
- 실업자
- 2024년 7월 실업자는 73만 7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만 명 감소하며 실업률은 2.5%로 0.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 청년층 실업률은 5.5%로 0.5%포인트 하락했습니다.
- 비경제활동인구
- 비경제활동인구는 1,599만 6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만 9천 명 증가했습니다.
- 육아를 이유로 비경제활동에 속한 인구는 12만 1천 명 감소한 반면, '쉬었음' 상태의 인구는 24만 3천 명 증가했습니다.
- 취업시간대별 동향
-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35만 7천 명 증가했으나,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19만 4천 명 감소했습니다.
-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4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시간 감소했습니다.
- 연령별 및 성별 고용동향
- 60세 이상에서 27만 8천 명, 30대에서 11만 명의 취업자가 증가한 반면, 20대와 40대에서는 각각 12만 7천 명, 9만 1천 명의 취업자가 감소했습니다.
- 남성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여성 취업자 수는 증가했습니다.
- 산업별 고용 동향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정보통신업, 운수 및 창고업에서의 고용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건설업과 도매 및 소매업에서의 고용 감소가 나타났습니다.
- 직업별 고용 동향
-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 사무종사자에서의 고용이 증가한 반면, 판매종사자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에서의 고용이 감소했습니다.
- 종사상 지위별 고용 동향
- 상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의 수는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수는 감소했습니다.
- 구직단념자
- 비경제활동인구 중 구직단념자는 38만 1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천 명 감소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심을 가져야 할 나랏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7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 요약 (0) | 2024.08.18 |
---|---|
2024년 지방세입 관계법 개정안 요약 (0) | 2024.08.18 |
최근 오픈소스 AI 대한민국 SW를 주도 (0) | 2023.05.28 |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늦었지만 시작이다. (0) | 2023.05.19 |
미래 에너지 수소에 대하여 (0) | 202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