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이야기

탈모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가발 미용실, 탈모 예방, 탈모관리 (골라듄다큐)

by 하이드갓 2023. 6. 1.
반응형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20탈모증(L63~L66)’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진료인원은 2016212천 명에서 2020 233천 명으로 21 명이 증가하였고, 평균 증가율은 2.4%로 나타났다.

- 남성은 2016117천 명에서 2020133천 명으로 13.2%(1 6)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95천 명에서 202010만 명으로 5.8%(6천 명)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증감률
(‘16 대비)
연평균
증감률
전체 212,141 214,228 224,800 232,596 233,194 9.9 2.4
남성 117,492 119,145 126,456 132,355 133,030 13.2 3.2
여성 94,649 95,083 98,344 100,241 100,164 5.8 1.4

2020년 기준 탈모증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33천 명) 30대가 22.2%(52천 명)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1.5%(5만 명), 20대가 20.7%(48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 남성의 경우 3025.5%, 4022.3%, 2022.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 여성의 경우는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4%로 가장 높았고, 50 20대가 각각 19.6%, 18.6%를 차지하였다.

- 특히, 10대 부터 40대까지는 여성보다 남성이 많았고, 9세이하와 50대이상은 남성보다 여성이 많았다.

 

 

https://youtu.be/sx6v0afwXks

 

 

 

 

< 2020탈모증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

(단위: , %)

구분 전체 9세 이하 10 20 30 40 50 60 70 80
이상
233,194 3,970 15,970 48,257 51,751 50,038 38,773 18,493 5,001 941
(100) (1.7) (6.8) (20.7) (22.2) (21.5) (16.6) (7.9) (2.1) (0.4)
남성 133,030 1,735 9,124 29,586 33,913 29,607 19,186 7,843 1,740 296
(100) (1.3) (6.9) (22.2) (25.5) (22.3) (14.4) (5.9) (1.3) (0.2)
여성 100,164 2,235 6,846 18,671 17,838 20,431 19,587 10,650 3,261 645
(100) (2.2) (6.8) (18.6) (17.8) (20.4) (19.6) (10.6) (3.3) (0.6)

 

 

2016년부터 2020년 까지 5년 동안 탈모증질환으로 한번 이상 진료를 받은 전체인원876천 명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성별로 살펴보면, 20(20.6%), 40(21.2%), 30(22.7%)순으로 나타났으며, 20~40 모두 약 20% 대로 비슷한 진료인원을 보였고, 50부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남성은 30(25.9%), 20(22.5%), 40(21.5%) 순으로 나타났으며, 20~40대 모두 약 20% 대로 비슷한 진료인원을 차지하였다

- 여성은 40(20.8%)로 가장 많았고, 30(18.7%), 50(18.7%) 순으로 나타났으며, 60대부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탈모증’ 질환의 발생 원인

- 탈모는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으며, 그 외 스트레스나 면역 반응이상, 지루성 피부염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인 스스로 머리카락을 뽑는 습관 또한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탈모증’ 질환의 치료방법

- 남성형 탈모의 치료로는 2~5% 미녹시딜 용액 도포가 많이 사용 되는데, 초기 반응은 약 6개월 이후, 최대 반응은 약 1년 후에 나타나고 중단하면 약 2개월 후부터 다시 탈모가 시작된다.

 

- 그리고 안드로겐 생성이나 이용을 억제하는 경구피임약이나 전신적 항안드로겐 약물도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여러 부작용으로 인해 실제 임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 남성의 남성형 탈모증의 경우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안드로겐 수용체 결합에도 영향이 없는 5-알파 리덕타제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많이 사용한다. 이 약물을 사용한 환자는 1년 후 약 50%, 2년 후에는 60% 발모가 증가되고 머리카락의 굵기나 길이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최근에는 비슷한 약리 작용을 가지는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라는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복용 약은 적어도 3개월 이상 사용해 봐야 효과가 있는지 알 수 있고 약을 중단하면 탈모가 다시 진행 될 수 있다.

 

- 남성형 탈모가 심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할 수 있다. 후두부 처럼 탈모가 나타나지 않는 부위의 머리카락을 탈모 부위로 이식 하는 것인데, 전에는 미니이식이나 미세이식을 많이 했으나 요즘에는 털집 분리 기술의 발달로 모낭단위이식을 대부분 시행하고 있고, 최근에는 단일모 이식술까지 개발되었다.

 

- 이 방법은 자연적인 상태 그대로를 이식하게 되므로 더욱 자연 스러운 경과를 얻을 수 있다. 수술 후에도 복용 약은 유지해야 한다. 약물이나 수술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가발 등을 사용할 있다.

 

 

 

❍ ‘탈모증’ 질환의 예방법

- 탈모는 유전 및 남성 호르몬이 원인이므로 근본적인 예방법은 없다. 다만 스트레스를 줄이고 규칙적인 생활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탈모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떤 증상이 있을 때 탈모를 의심할 수 있나요?

- 머리를 감거나 자고나서 정수리 부위나 앞머리 부위에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거나,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거나, 유전적으로 탈모 요인이 있으면 의심해볼 수 있다.

 

 

탈모 치료약의 부작용

- 미녹시딜은 원래 고혈압 치료제로 개발되었는데 부작용으로 털이 자라는 증상이 있어 탈모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도포 시 피부 자극으로 피부가 가렵거나 붉어질 수 있으며, 너무 많은 양을 사용하면 전신 흡수로 다모증이나 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피나스테라이드나 두타스테라이드 같은 복용 약은 원래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인데, 상용시 전립선 특이 항원(PSA) 농도를 감소 시키기 때문에 40세 이후에는 치료 전 PSA를 측정하는 것이 좋다.

 

 

탈모증' 질환 연령대별 성별 / 진료실인원 현황

(단위: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212,141 214,228 224,800 232,596 233,194
남성 117,492 119,145 126,456 132,355 133,030
여성 94,649 95,083 98,344 100,241 100,164
9
이하
5,382 5,280 5,019 5,115 3,970
남성 2,156 2,121 1,971 2,020 1,735
여성 3,226 3,159 3,048 3,095 2,235
10 16,050 16,196 16,150 16,365 15,970
남성 8,834 9,201 9,576 9,688 9,124
여성 7,216 6,995 6,574 6,677 6,846
20 41,834 42,265 44,954 46,982 48,257
남성 25,023 25,520 27,754 29,197 29,586
여성 16,811 16,745 17,200 17,785 18,671
30 50,650 50,361 52,234 52,135 51,751
남성 32,233 32,091 33,647 34,154 33,913
여성 18,417 18,270 18,587 17,981 17,838
40 47,244 47,457 48,884 50,468 50,038
남성 26,334 26,646 27,682 29,300 29,607
여성 20,910 20,811 21,202 21,168 20,431
50 33,402 34,069 36,662 38,392 38,773
남성 15,747 16,051 17,432 18,678 19,186
여성 17,655 18,018 19,230 19,714 19,587
60 12,997 13,859 15,593 17,430 18,493
남성 5,556 5,900 6,558 7,299 7,843
여성 7,441 7,959 9,035 10,131 10,650
70 3,943 4,037 4,572 4,918 5,001
남성 1,408 1,372 1,601 1,765 1,740
여성 2,535 2,665 2,971 3,153 3,261
80대 이상 639 704 732 791 941
남성 201 243 235 254 296
여성 438 461 497 537 645

 

 

탈모증' 질환 연령대별 성별 / 인구 10만 명당 현황

(단위: )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418 421 440 453 454
남성 461 466 494 513 517
여성 375 375 386 392 391
9
이하
119 120 117 123 100
남성 93 94 90 95 85
여성 147 148 147 153 116
10 304 316 325 339 342
남성 321 345 371 388 378
여성 285 284 275 287 304
20 611 613 651 677 699
남성 690 699 758 794 812
여성 523 517 530 546 574
30 660 668 701 711 725
남성 814 825 874 897 913
여성 496 501 516 510 521
40 543 550 579 600 601
남성 595 607 643 682 695
여성 489 491 513 515 502
50 405 409 433 447 452
남성 380 384 411 433 445
여성 430 434 455 460 459
60 251 253 271 284 282
남성 220 221 233 244 246
여성 279 284 306 322 317
70 132 129 141 147 145
남성 107 99 110 117 111
여성 151 153 166 172 173
80대 이상 48 49 48 47 53
남성 47 51 46 45 48
여성 49 48 49 49 56

 

 

탈모증' 질환 연령대별 성별 / 총진료비 현황

(단위: 천 원)

구 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전체 26,832,223 28,649,792 32,364,143 36,172,708 38,739,461
남성 14,692,858 15,727,647 17,894,860 20,137,915 21,697,454
여성 12,139,365 12,922,146 14,469,283 16,034,793 17,042,006
9
이하
426,810 450,759 496,137 549,952 473,466
남성 174,858 187,361 203,376 239,507 223,790
여성 251,952 263,399 292,761 310,444 249,676
10 1907,703 2,032,852 2,155,646 2,345,632 2,434,067
남성 1068,185 1,194,577 1,283,814 1,372,876 1,439,617
여성 839,518 838,275 871,832 972,756 994,450
20 4,720,801 5,051,427 5,701,577 6,334,671 7,010,072
남성 2,727,567 2,954,016 3,416,303 3,787,965 4,127,053
여성 1,993,234 2,097,411 2,285,274 2,546,706 2,883,019
30 6,262,158 6,562,280 7,283,185 7,814,717 8,383,144
남성 3,863,713 4,053,327 4,551,006 4,964,079 5,400,836
여성 2,398,445 2,508,953 2,732,179 2,850,638 2,982,309
40 6,532,296 6,872,680 7,569,440 8,481,251 8,904,536
남성 3,597,847 3,797,590 4,185,530 4,776,981 5,083,059
여성 2,934,449 3,075,091 3,383,910 3,704,271 3,821,477
50 4,695,194 5,117,244 6,014,628 6,807,644 7,259,532
남성 2,264,090 2,449,887 2,898,785 3,336,214 3,574,901
여성 2,431,105 2,667,357 3,115,842 3,471,430 3,684,631
60 1,738,025 1,974,025 2,404,036 2,972,760 3,327,712
남성 782,022 880,117 1,073,460 1,319,672 1,488,686
여성 956,003 1,093,907 1,330,577 1,653,087 1,839,026
70 485,046 508,886 638,966 738,550 797,951
남성 191,730 181,841 248,412 294,822 307,199
여성 293,316 327,045 390,554 443,728 490,752
80대 이상 64,189 79,639 100,529 127,531 148,980
남성 22,845 28,932 34,173 45,798 52,312
여성 41,344 50,707 66,356 81,733 96,668

수진기준(실제 진료받은 일자기준), 주상병 기준(부상병 제외), 한의분류 제외 및 약국포함

 

 

출처 : 복지로

 

 

728x90
반응형